메뉴

노컷Biz

강남·성수 상업시설, 코로나 초기比 매매가 60% 이상 상승

강남·성수 상업시설, 코로나 초기比 매매가 60% 이상 상승

상승폭, 서울 평균보다 크게 높아…거래량은 3년 전보다 감소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황진환 기자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황진환 기자
올해 서울 강남·성수동 일대 상가의 평균 매매가가 코로나 초기인 2020년에 비해 60%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알스퀘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올해 들어 이달 22일까지 서울 지역의 제 1·2종 근린생활과 판매·숙박 등 상업시설의 평균 매매가(대지면적 기준)를 분석한 결과, 3.3㎡당 8927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같은 기간 매매가(3.3㎡당 6590만원) 대비 35.5% 오른 것이다.

강남구 상업시설의 평균 매매가는 3.3㎡당 1억8117만원으로, 서울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았다. 3년 전인 2020년 같은 기간 매매가(1억887만원)에 비해 66.4% 오른 것으로, 상승 폭도 서울 평균에 비해 크게 높았다.

최근 MZ세대의 '핫플'로 떠오른 성동구 성수동 1·2가는 평균 매매가가 3.3㎡당 1억3240만원으로 2020년(8148만원)보다 62.5% 올랐다.

한편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 등의 우려로 올해 들어 거래량은 급감했다.

올해 1월부터 이달 22일까지 서울 상업시설의 거래량은 391건으로 2020년 같은 기간(982건)에 비해 60.2% 줄었다.

이 가운데 올해 강남구 상업시설 거래량은 56건으로, 2020년(110건) 대비 49% 감소했고, 성수동은 올해 14건으로 3년 전(23건)보다 39.1% 감소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HOT이슈

비즈영상

[눈]으로 보는 우리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