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쓱데이 스타필드 안성 BIG 3 SHOW 행사 모습. 신세계그룹 제공신세계그룹은 2년 만에 열린 계열사 통합 쇼핑 축제 쓱데이 목표치를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진행한 쓱데이의 매출이 2021년 직전 쓱데이 대비 22% 증가한 1조 7천억 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그룹은 당초 1조 5천억 원을 매출 계획으로 설정했는데, 이를 초과한 실적을 기록하게 됐다.
이번 쓱데이는 13일 온라인 행사를 먼저 시작하고 17일부터 오프라인 행사를 함께 진행했는데, 온라인 계열사들의 선전이 눈에 띄었다. SSG닷컴 31%, G마켓 10%, 신세계라이브쇼핑 34%, W컨셉 161% 등 그룹 내 온라인 계열사들의 매출이 2년 전 행사 대비 크게 늘었다.
먼저, SSG닷컴은 쓱데이 기간 명품·뷰티·가전 등 주력 카테고리가 매출을 견인해 계획 대비 121% 달성율을 기록하며 역대 쓱데이 자체 최고 실적을 갱신했다. 유가공품 85%, 대용식 55% 등 고물가에 할인 혜택을 선보인 가공식품 신장률도 높게 나타났다.
W컨셉 역시 쓱데이 기간 한정 판매한 디자이너 브랜드 기획 상품 등이 좋은 반응을 얻으며, 지난 행사 대비 APP 유입 73%, 신규 회원 수도 16% 증가 등 쓱데이를 통해 플랫폼 인지도를 높였다.
G마켓과 옥션은 쓱데이(11월 13~19일)와 빅스마일데이(11월 6~19일) 기간 동안 총 2117만여 개의 상품을 판매했다. 하루 평균 151만여 개씩 판매된 수치다.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을 비롯한 오프라인 계열사도 호실적을 거뒀다.
이마트의 매출은 지난 행사 동기간 대비 22% 늘었고, '역대급' 실적으로 주목을 받은 신세계그룹의 야구단 SSG랜더스의 지난해 우승 기념행사 '쓱세일'의 동기간 대비 매출보다도 5% 가량 늘었다. TV, 냉장고, 세탁기 특가 할인에 고객이 몰리며 대형가전 매출이 25% 증가했고, 장바구니 부담을 줄여준 반값 할인, 일자별 특가 행사 등의 효과로 가공식품 매출이 40%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도 행사 기간 확대와 갑자기 찾아온 추위의 영향으로 패션, 잡화, 생활 등 전 장르에 걸쳐 좋은 실적을 보이며 지난 쓱데이 대비 53% 매출이 늘었다. 외투와 방한용품을 찾는 고객이 크게 늘며 패션은 53%, 잡화는 43%의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다.
또한 375% 신장한 대형가전, 107% 신장한 가구·침대 등 객단가 높은 생활 장르 대품들의 역대급 사은행사가 백화점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이외에도 호캉스족을 모은 조선호텔앤리조트의 매출은 31% 증가했고, 모빌리티쇼 등 3가지 테마의 스타필드 '빅 쇼(Big Show)로 이번 쓱데이의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한 신세계프라퍼티의 매출도 16% 증가했다.
신세계그룹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高현상으로 어려운 대내외 경제환경 속에서 고객의 주머니 사정을 반영한 상품들도 많은 호응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스타벅스는 13일부터 나흘간 오후 2시부터 5시 사이 카페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를 평소보다 1500원 저렴한 3천 원에 판매하는 '쓱데이 해피아워' 행사를 진행했는데, 행사 기간 아메리카노 판매량은 전 주 동일 시간대보다 85%가 증가했다.
쓱데이를 맞아 신세계푸드가 출시한 노브랜드버거 짜장버거는 타브랜드 일반 버거보다 20% 가량 두꺼운 고기패티와 가성비 있는 가격으로 화제를 모으며 6일간 5만 개가 팔려나갔다.
이마트24는 제육볶음, 소시지야채볶음 등 7가지 반찬을 담은 6~7천 원 가치의 '7찬 도시락'을 15일부터 사흘간 3500원에 판매하며 도시락 부문 매출 압도적 1위에 올랐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흠은 있지만 맛에는 지장 없는 가성비 신선식품 브랜드 '신선흠' 7개 품목을 운영, 일반 농산물보다 약 40% 싸게 팔며 3일간 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신세계그룹은 "앞으로도 고객과 상품에 더욱 집중해 더 큰 혜택과 경험을 누릴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