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컷Biz

IT

과기부, 소형발사체 기술 연계 MOU 체결

과기부, 소형발사체 기술 연계 MOU 체결

핵심요약

소형발사체 중점기술, 민간 기업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구축
소형위성 수송시장, 과기부 지원 방안 모색

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소형발사체 중점 기술개발. 연합뉴스스페이스파이오니어사업 소형발사체 중점 기술개발.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으로 개발 중인 소형발사체 중점기술의 우주개발사업 체계 연계를 위한 기업 간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체결식에는 주식회사 엔디티엔지니어링과 단암시스템즈, 한양이엔지가 공급기업으로 참여했다. 또 이노스페이스, 우나스텔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한항공이 수요 기업으로서 함께 했다. 
 
과기부는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으로 소형 발사체 체계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격벽 추진체 탱크', '에비오닉스 통합기술', '단간연결 엄빌리칼 기술' 개발을 엔디티엔지니어링, 단암시스템즈, 한양이엔지를 각각 총괄 주관으로 선정해 추진 중이다.
 
전 세계적으로 민간기업 중심으로 소형발사체 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이번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노스페이스, 우나스텔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한항공 등이 세계 소형위성 수송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는 지난 3월 엔진 성능검증용 시험발사체인 '한빛-TLV'의 발사에 성공, '한빛-나노'의 개발을 마치고 2024년에는 본격적인 상업 발사에 나설 예정이다.
 
우나스텔라는 유인 발사체를 개발해 준궤도 우주여행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삼고, 국내에서 개발된 국산화 기술로 단기간 체계개발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기업 간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누리호 제작 총괄 관리, 발사 공동 운용 등의 과정에 참여한 체계종합기업이다. 오는 2027년까지 누리호를 4차례 발사해 실용위성을 궤도에 올릴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I) 개발 및 조립, 엔진 개발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 한 바 있다. 현재도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 사업'에 선정돼 소형발사체 상단부 고성능 엔진을 개발 중이다.
 
과기부 조선학 국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소형 발사체 우주 중점기술의 활용성 및 체계 연계를 위한 민간 협력체계가 강화된 만큼 우리나라 기업의 지구 저궤도용 소형위성 수송 시장 진입에도 속도가 붙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0

0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눈]으로 보는 우리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