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컷Biz

티마운트

세바시

머니

한은 "대중 수출비중 19.8% 급감…중국 특수 어렵다"

수출 먹구름 언제까지

한은 "대중 수출비중 19.8% 급감…중국 특수 어렵다"

중국, 2010년 중반 이후 첨단산업으로 성장구조 전환
"대중 소비재 수출 확대, 수출시장 다변화해야"

21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21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은 4일 "중국 경제의 중간재 자립도가 높아지고 기술경쟁력 제고로 경합도가 상승했다"며 "우리 경제가 과거와 같은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중국 성장구조 전환과정과 파급영향 점검' 보고서에서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편중된 수출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대중 수출이 갑자기 절벽처럼 꺾인다는 것은 아니지만 구조적 측면에서 그런 제약 요인이 있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2010년 중반부터 중국은 부동산 중심에서 첨단산업 중심으로 성장구조를 전환하기 위해 '중국 제조 2025' 등 제조업 고도화 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섬유, 의류, 컴퓨터 등 기존 산업이 축소된 반면, 전기차, 이차전지, 태양광 등의 신성장산업은 빠르게 발전했다.

이 같은 성장구조 전환이 결국 부동산 투자 위축, 중간재 자급률 상승 등을 초래했고, 중국 내에서 성장에 따른 수입유발 효과도 축소되고 있다는 게 한은 분석이다.

지난 2020년 중국 내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 수요의 수입유발계수가 2017년보다 하락했고, 같은 기간 최종 수요가 한국의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비중도 소폭 축소됐다.

실제 최근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은 눈에 띄게 감소했다.

대중 수출액은 올해 들어 11월까지 1140억 달러로 총 수출금액(5751억2천만달러)의 19.8%에 머물렀다. 이는 2004년(19.6%) 이후 19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대중 수출 비중은 지난 2018년 26.8%까지 상승했지만 2019년 25.1%, 2020년 25.9%, 2021년 25.3%로 유지되다 지난해 22.8%로 급감한 뒤 축소 폭이 확대됐다.

특히 반도체 수출을 제외한 대중 수출 비중은 더 크게 줄었다.

한은은 "우리 경제는 중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간재 중심의 대중 수출을 소비재 중심으로 확대하는 한편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품의 대외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편중된 수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0

0

[눈]으로 보는 우리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