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정부가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지만 국내 주요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최근 3년간 하락세가 이어지면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 효과가 실질적 밸류 증대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상장사 286곳을 분석한 결과, 평균 ROE는 2021년 10.1%에서 2023년 5.2%로 떨어졌다.
ROE는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값이라 회사가 주주지분인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핵심 밸류업 지표다.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자기자본은 1906조 7천여억원에서 2222조 9천여억원으로 16.6% 증가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192조 1555억원에서 114조 8598억원으로 40.2%나 줄었다.
반기 기준으로 비교해도 ROE 감소 추세가 확인됐다. 분석 대상 기업들의 2021년 반기 ROE는 5.7%였는데, 올 상반기 4.2%로 1.5%p 하락했다. 실제로 절반이 채 안되는 120개 기업만 ROE가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 분야에서 가장 큰폭의 하락세가 나타났다. 서비스업 19개사의 평균 ROE는 2021년 27.0%에서 지난해 3.2%로 –23.9%p를 기록했다. 평균자기자본은 7.0%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이 22조9585억원에서 2조8665억원으로 87.5%나 감소하면서 ROE를 끌어내렸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ROE가 가장 크게 떨어진 기업은 네이버다. 2021년 3월 라인과 Z홀딩스의 경영이 통합되면서 회계상 당기순이익이 16조4776억원으로 급증, ROE도 68.5%에서 64.5%p 하락한 4.1%를 기록했다.
IT전기전자 업종에서도 ROE 하락세가 뚜렷했다. 17개사의 2021년 ROE는 13.1%였으나 지난해에는 11.6%p 떨어진 1.5%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당기순이익이 –87.3%(54조8415억원→6조9917억원)로 크게 떨어진 것이 결정적 원인으로 꼽힌다.
평균 ROE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조선, 기계, 설비 등이다. 자동차 업종의 ROE도 크게 증가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2021년 대비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각각 115.6%, 84.4%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