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컷Biz

티마운트

세바시

"최대실적 났다는데 왜 이래?"…제각각 성과급에 분통 터진 MZ

"최대실적 났다는데 왜 이래?"…제각각 성과급에 분통 터진 MZ

  • 2023-03-05 10:38

같은 기업 내서도 사업부문별 차이 커…상대적 박탈감에 뒤숭숭
일부 조직적 반발 움직임도…"일괄 지급이 되레 불공정" 반론도

연합뉴스연합뉴스
"지난해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지만 돌아온 건 터무니없는 액수의 성과급이다." 한 직장인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불만의 목소리다.

실적 시즌이 마무리되고 회사별·사업부별 성과급이 속속 공개되면서 성과급 논란이 다시금 불붙고 있다. 특히 MZ세대(1980년대초~2000년대초 출생)를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 나오면서 기업들은 성과급 논란이 노사뿐 아니라 노노(勞勞) 갈등으로 번질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주요 기업 계열사·사업부별로 격차…SNS·노조서 불만 터져나와

5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최근 성과급과 관련한 불협화음으로 곤욕을 치렀다.

갈등은 새로운 성과급 제도를 도입하면서 불거졌다. 기존에는 계열사별 차등 없이 성과급을 지급해왔는데, 각 계열사의 전년도 성과에 따라 기본급 기준으로 각각 0~800%의 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다.

SK이노베이션 전체로 보면 작년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계열사별 실적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호실적을 이끈 SK에너지 등은 두둑한 성과급을 챙겼지만, 1조원 가까운 적자를 낸 SK온 등은 아예 성과급을 받지 못했다.

성과급 지급 방식이 바뀌면서 MZ세대를 중심으로 불만의 목소리도 나왔다. 실적이 부진한 사업부에 속했다면 아무래도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배터리 후발 주자인 SK온은 당장 이익을 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구성원의 불만도 크다. 배터리 사업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부 젊은 직원들을 중심으로 최태원 SK 회장에게 문제점을 알리자는 움직임도 있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새 성과급 제도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담은 다이렉트 메시지(DM)를 보내자는 것이었다.

이런 갈등은 SK이노베이션에만 있었던 게 아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사업부별 초과이익성과급(OPI)을 지급했는데, 반도체 사업부인 DS 부문 직원들에게는 연봉의 50%가 지급됐다. 실적 부진에 빠진 생활가전사업부의 지급률은 7%에 그쳤다. 성과급 차이가 벌어지자 올해 초 삼성전자 DX 부문에서는 별도 노조가 출범했다. DS 부문과의 성과급 격차 등 부문별 차등 대우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새 노조에는 생활가전사업부 직원들이 주로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연합뉴스
LG전자도 사업부별로 성과급 차이가 컸다.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한 전장(VS) 사업본부에는 기본급의 550%가 지급됐지만, TV 수요 부진 여파로 HE사업본부에는 기본급의 100~130%가 지급됐다.

성과급 차등 지급에 불만을 품고 노조가 실력 행사에 나선 경우도 있다. 현대모비스 노조는 사측이 제시한 특별 격려금이 다른 계열사인 현대차와 기아보다 적다며 지난달 22일 현대모비스 본사 1층에서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비금전적 보상 확대…성과급 기준 투명한 공개 필요"

성과급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자 기업들도 난처한 표정이다. 하지만 이 같은 반발이 MZ세대가 이야기하는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반론도 나온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더 많은 성과를 낸 곳에 더 많은 보상을 주는 게 당연한 원칙"이라며 "흑자를 낸 사업부와 적자를 낸 사업부에 같은 성과급을 지급해달라는 주장이 과연 공정한가"라고 반문했다.
성과를 고려하지 않고 일괄 지급할 경우 되레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도 "특정 사업부가 목표 대비 초과 실적을 달성했으면 그만큼 보상하는 게 당연하다"며 "일괄적으로 보상하는 게 오히려 비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많은 기업이 개인이나 사업부별로 성과급을 차등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1곳을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성과급 지급 현황'을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성과급 지급 방식은 '개인·부서 실적에 따른 차등 지급'(41.7%)이 대세였다. 이어 연봉 비례 정률 지급(16.1%), 연봉 비례 차등 비율 지급(15.1%), 실적·직급·연봉 등과 무관하게 고정 금액 지급(13.6%), 직급·연차에 따른 차등 지급(11.6%) 등 순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36.7%는 올해 성과급 지급 방식을 개편하거나 성과급 지급을 신설할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중 절반 이상인 55.2%가 개인·부서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고 밝혔다. 최승철 사람인 HR연구소장은 "실적에 따라 성과를 바로 보상하는 성과주의가 경영계 전반으로 급격하게 확산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성과급 관련한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비(非)금전적 보상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크루트의 정연우 팀장은 "성과급 등 극심한 처우 차별은 직원들의 위화감을 심화시키고 조직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며 "비금전적 보상을 확대하거나 성과급 기준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공정한 보상 체계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0

[눈]으로 보는 우리의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