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컷Biz

티마운트

세바시

IT

"AI 3대 강국 목표로"…'민관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AI혁명

"AI 3대 강국 목표로"…'민관 AI전략최고위협의회' 출범

全산업에 행정까지 AI 접목
정부, 올해 7천억원 투입
AI 성공적 도입 시 3년 내 310조 효과

과기정통부 제공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민간과 힘을 합쳐 'AI 전략최고위협의회'를 출범한다.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국민들이 AI 혜택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올해 7천억원 이상을 들여 'AI 일상화'를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민·관 AI 최고위 거버넌스인 'AI전략최고위협의회'를 출범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첫 회의에서 올해 69개 AI 일상화 과제에 총 7102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국민 일상 속 AI 행복 확산' 사업으로 18개 과제(755억원)를, '근로자 등 일터 현장의 AI 융합·접목' 사업으로 24개 과제(2881억원)를, '공공행정 AI 내재화' 사업으로 14개 과제(1157억원)를, '국민의 AI 역량 제고와 AI 윤리 확보' 사업으로 13개 과제(2309억원)를 각각 진행한다.

이를 통해 국민의 AI 서비스 경험률을 작년 51%에서 올해 60%로, 기업들의 AI 도입률을 28%에서 40%로, 공공 부문 AI 도입률을 55%에서 80%로 각각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날 글로벌 컨설팅 기업 베인앤드컴퍼니와 공동으로 연구한 보고서도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조·의료·금융 등 전 분야에 생성형 AI가 적용됨으로써 창출되는 경제 효과는 오는 2026년 기준 총 3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우선 AI 융합 신제품 출시 등을 통한 연간 매출 증대가 총 123조원 규모로, 자동화와 효율화를 통한 연간 비용 절감이 총 187조원 규모로 각각 예상됐다.

제조·의료·금융 등 국가 전반의 인공지능 혁신을 통해 국민총생산(GDP)의 1.8%포인트 추가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도 AI를 통해 성장 둔화와 저출산·고령화에 직면한 한국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 재도약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AI 분야에서 미국, 중국에 비견되는 G3(주요 3개국)로의 도약을 목표로 △글로벌 선도 수준의 AI 기술 혁신 △제조·서비스 전반의 AI 대전환 가속화 △국민 일상에 선도적 AI 도입 △새로운 디지털 질서 정립 등 4대 전략분야별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선 범부처 차원의 협의체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지금까지 'AI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 'AI법제정비단' 등 분야별 민·관 협의체만 있어서다.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이 전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국가 전략 차원에서 인공지능 혁신을 이끌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일반, 인공지능반도체, 알앤디(R&D), 법·제도, 윤리안전, 디지털 인재 등과 관련 민간 전문가 23명과 과기정통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교육부, 개인정보보호위, 방송통신위원회 등 주요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 7명 등 총 32명이 구성원이다.

민간위원에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유영상 에스케이텔레콤 대표, 김영섭 케이티 대표,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 사장,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 유희준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임종인 대통령실 사이버 특보, 고환경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0

0

[눈]으로 보는 우리의 이야기